본문 바로가기

전체 글12

[IntelliJ] Eclipse와 IntelliJ의 차이점 1. 워크스페이스(Workspace)의 개념이 없음 이클립스에서는 워크스페이스에서 여러 프로젝트를 동일한 화면 및 윈도우에서 열고 작업할 수 있다. 하지만 IntelliJ에서는 하나의 프로젝트만 사용 가능. 하지만 상하 관계에 있는 모듈 프로젝트는 한 윈도우에서 작업이 가능하다. 2. Perspective가 없다 소스 코드를 편집하거나 실행/디버그를 할 때 용도나 목적에 따라 IDE의 레이아웃을 변경할 수 있다. 본인은 JavaEE/Git, 두 가지 Perspective를 통해서 작업하는 것을 선호했다. IntelliJ는 기본적인 레이아웃이 변경 불가능하다. 3. 파일 저장이 자동으로 이뤄진다. 이클립스뿐만 아니라 에디터 기능을 갖는 애플리케이션 대부분은 사용자가 지시하지 않으면 파일을 저장하지 않는다... 2021. 1. 2.
[IntelliJ] IntelliJ 단축키 화면 관련 Alt + 1 : 왼쪽 프로젝트 목록으로 접기/펴기 Alt + 8 : tomcat 및 log 접기/펴기 Alt + 9 : git 목록으로 접기/펴기 ESC : 편집 메인화면 커서 shift + esc : 하단 메뉴 숨기기 Ctrl+Shift+F12 : 편집기(Editor) 영역을 최대로 크기로 토글 설정 관련 Ctrl+Alt+S : 설정(Preferences) 창 Ctrl+Alt+Shift+S : 프로젝트 구조를 확인 및 변경 할 수 있는 창 리팩토링 shift * 2 : 소스 코드 전체 검색 F4 : 해당 url 해당하는 file 이동 Shift+F6 : 이름 변경(Rename) Alt+⏎ : 퀵픽스 제안 Alt+J : 다중 선택 에디터 관련 Ctrl+Space : 기본 코드 자동완성 기능 .. 2021. 1. 2.
[Java] 묵시적 형변환/명시적 형변환 묵시적 형변환 자동 형변환이라고도 하며 별도의 설정 없이 작은 데이터 타입 -> 큰 데이터타입으로 변환시에 사용됨 int가 4바이트, double가 8바이트 int의 값은 데이터 손실 없이 자동으로 형변환할 수 있다 아래의 출력 값을 확인하면 명시적 형변환 강제 형변환이라고도 하며 형변환 타입을 명시해줌으로써 큰 데이터타입 -> 작은 데이터 타입으로 변환 시에 사용할 수 있음 명시적 형변환은 데이터의 크기에 상관 없이 사용할 수 있다. 하지만 큰 데이터타입 -> 작은 데이터 타입의 경우를 살펴보자. double e의 변수에는 11.5라는 값을 담아줬다. (int)e라는 명시적 형변환을 통해서 소수점이 날라간 11이라는 값이 f에 저장되고 출력되었다. 즉, 큰 데이터 타입에서 작은 데이터 타입으로 형변환이.. 2020. 12. 31.
[Java] 단락 평가(SCE : Short Circuit Evaluation) 논리 연산자 && 혹은 ||를 포함한 연산 결과 True/False에서 앞의 연산을 통해서 뒤의 연산 결과 여부와 상관없이 결과가 확실하다면 "나머지 연산을 수행할 필요가 없을 때 사용된다" //&& 조건 if (vo != null && vo.getUserName() == "유저") { System.Out.Println("ㅋ") } //|| 조건 if (vo == null || vo.getUserId() < 5) { System.Out.Println("ㅋ") } - && 조건(false를 만났을 시 뒤의 연산 X) "vo != null"이라는 조건에서 vo == null가 false라면 vo.getUserName() == "유저"의 연산을 실행하지 않고 결과 도출 - || 조건(True를 만났을 시 뒤의.. 2020. 12. 30.